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를 다시 읽고서
에리히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 (원제: To Have or to Be)를 읽으면서 소유 중심의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이 왜 불행하고 외로운지를 성찰하고 하나님 형상을 회복하여 인간의 존엄성을 서로에게 표하는 믿음의 삶을 살아갈 것을 성찰해 봅니다.
근대 문명은 기술 진보, 경제 성장, 정치적 자유를 통해 “위대한 약속”을 제시했지만 에리히 프롬은 이를 “실현되지 않은 약속”, 즉 “환상”으로 말합니다. “인간은 더 많이 가지게 되었지만, 그만큼 더 비어 있다.”고 말합니다. 물질적 풍요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내면의 공허, 사회적 고립, 영혼의 불안을 겪습니다. 이는 소유 중심의 삶이 약속한 자유와 만족이 자기 소외와 결핍으로 돌아온 결과입니다. 프롬은 경제적 필요를 인정하지만, 현대 자본주의가 생존을 넘어 “더 많이 가지는 것”을 존재의 기준으로 삼아 욕망을 끝없이 부추긴다고 비판합니다. 이는 환경 파괴, 인간관계의 거래화, 자아의 해체로 이어지는 존재의 위기입니다.
프롬은 대안으로 사랑, 학습, 창조, 공유를 통한 존재 중심의 삶을 제안합니다. 이는 ‘나의 것’이 아닌 ‘내가 되는 것’을 중시하며, 타인과의 관계, 공동체,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합니다. 한나 아렌트는 “무사유”를 타인의 고통에 대한 무관심이자 세계에 대한 책임 없는 태도로 경고합니다. 소유 중심적 사고는 연대와 배려를 차단하며, 자기 자신마저 상실하게 합니다. “환상의 종말” 이후, 우리는 무한한 소비와 소유가 아닌 깨어 있는 존재, 사유, 타인과의 진정한 관계를 통해 새로운 인간성을 모색해야 하겠습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장마철과 무더위에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늘 감사하며 신실한 그리스도인으로서 승리하시길 축복합니다.